포스트

JPA 이야기 05 편 - n+1 문제

JPA는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추상화하고 간단하게 만들어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때로는 이러한 추상화로 인해 예상치 못한 성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 중에서도 n+1 문제에 대해 다루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1 문제란?

n+1 문제는 JPA에서 연관된 엔터티를 로딩할 때 발생하는 흔한 성능 문제입니다. 이 문제의 이름에서 “n”은 연관된 엔터티의 수를 나타내며, “1”은 처음 엔터티를 조회하는 쿼리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n+1 문제는 하나의 쿼리로 부모 엔터티를 조회한 후, 각 부모 엔터티에 대해 연관된 자식 엔터티를 조회하는 추가적인 쿼리가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n+1 문제의 해결 방법

1. Fetch Join

JPQL의 JOIN FETCH를 사용하여 연관된 엔터티를 즉시 로딩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Entity
public class Post {
    @OneToMany(fetch = FetchType.LAZY)
    private List<Comment> comments;
}

List<Post> posts = em.createQuery("SELECT p FROM Post p JOIN FETCH p.comments", Post.class).getResultList();

2. Entity Graph

@EntityGraph를 사용하여 필요한 속성만 선택적으로 즉시 로딩할 수 있습니다.

1
2
3
@EntityGraph(attributePaths = "comments")
@Query("SELECT p FROM Post p")
List<Post> findAllWithComments();

3. Batch Size

Batch Size 설정은 Lazy Loading의 성능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특히 JPA에서 엔터티나 컬렉션을 Lazy Loading할 때, 실제로 해당 데이터에 접근하려 할 때 로딩이 발생합니다. 이때 한 번에 하나의 엔터티나 컬렉션만 로딩하는 대신, Batch Size를 설정하여 여러 엔터티나 컬렉션을 한 번의 쿼리로 효율적으로 로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n+1 문제를 줄일 수 있습니다. Batch Size 설정 방식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BatchSize 어노테이션 사용

@BatchSize 어노테이션은 특정 엔터티나 컬렉션에 대한 배치 크기를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Comment 리스트를 로딩할 때 한 번에 10개의 Comment를 가져옵니다.

1
2
3
@OneToMany
@BatchSize(size = 10)
private List<Comment> comments;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설정 사용

전역적으로 배치 가져오기 크기를 설정하고 싶다면,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속성을 사용하면 됩니다. 이 설정은 application.propertiesapplication.yml 파일에 지정할 수 있습니다.

1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 20

만약 @BatchSize 어노테이션과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설정이 동시에 사용된다면, @BatchSize 어노테이션이 설정된 엔터티나 컬렉션에 대해서는 해당 어노테이션의 값이 우선적으로 적용됩니다. 다시 말해, @BatchSize의 우선순위가 hibernate.default_batch_fetch_size 설정보다 높습니다.

Batch Fetch Style

Hibernate는 Batch fetch style을 통해 연관된 엔터티나 컬렉션을 어떻게 가져올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 전략은 hibernate.batch_fetch_style 프로퍼티를 통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hibernate.batch_fetch_style = padded

아래는 각 전략에 대한 설명입니다:

  • legacy: Hibernate 3.x의 fetch style입니다.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전략으로, 이전 버전의 Hibernate에서 사용되던 방식입니다.
  • padded: 항상 고정된 수의 파라미터로 쿼리를 실행합니다. 이로 인해 데이터베이스는 쿼리 계획을 일관되게 생성하고 캐싱할 수 있습니다. 이 전략은 일반적으로 좋은 성능을 제공하며, 쿼리 계획의 캐싱으로 인한 성능 향상을 원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 dynamic: 필요한 만큼의 파라미터로 쿼리를 동적으로 생성합니다. 이 전략은 쿼리 파라미터의 수가 고정되지 않아도 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유용합니다. 하지만 데이터베이스에서 쿼리 계획을 캐싱하기 어려워,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각 배치 가져오기 전략은 애플리케이션의 특성과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고려하여 최적의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략 선택시 성능 테스트와 분석을 통해 실제 환경에서 어떤 전략이 더 효과적인지 확인하시는게 좋을거같습니다.

4. Projection (DTO 사용)

DTO를 사용하여 필요한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필요한 데이터만 로딩하므로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먼저, 전통적인 방식으로 DTO 객체를 생성하고, JPQL을 사용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오는 예제를 보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DTO 객체
public class PostCommentDto {
    private String postTitle;
    private String commentContent;

    public PostCommentDto(String postTitle, String commentContent) {
        this.postTitle = postTitle;
        this.commentContent = commentContent;
    }

    // getters, setters...
}

// Repository
public interface Post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Post, Long> {
    @Query("SELECT new com.example.PostCommentDto(p.title, c.content) FROM Post p JOIN p.comments c")
    List<PostCommentDto> findAllPostComments();
}

위와 같이 직접 DTO 객체를 정의하고 JPQL을 이용하면 원하는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시다싶이 쿼리문이 너무 복잡해지게 됩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 기반의 프로젝션을 제공해 코드를 간결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public interface PostCommentProjection {
    String getPostTitle();
    String getCommentContent();
}

public interface Post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Post, Long> {
    @Query("SELECT p.title as postTitle, c.content as commentContent FROM Post p JOIN p.comments c")
    List<PostCommentProjection> findAllPostComments();
}

이렇게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메서드의 반환 타입만으로 간단하게 프로젝션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여기서 PostCommentProjection 인터페이스의 메서드명과 JPQL 쿼리의 alias 이름 (postTitle, commentContent)이 일치해야한다는 것입니다.

5. Open Session in View 설정 변경

Open Session In ViewHibernate 세션을 HTTP 요청의 끝까지 열어두는 설정입니다. 이로 인해 뷰 렌더링 중에도 LAZY 로딩이 가능하게 됩니다. Spring Boot에서는 spring.jpa.open-in-view 프로퍼티로 이 설정을 제공하며, 기본적으로는 true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설정을 true로 두면 뷰 렌더링 시점에 예기치 않은 쿼리가 발생할 수 있어 성능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API의 응답을 생성하는 도중에 추가적인 쿼리가 발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권장하는 방식은 spring.jpa.open-in-viewfalse로 설정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컨트롤러나 서비스 레이어에서 미리 로딩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뷰 렌더링 중 LAZY 로딩을 시도할 때 LazyInitializationException이 발생하므로, 개발자는 문제의 원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1
2
# application.properties
spring.jpa.open-in-view=false

특히나 Restful API 서버에서는 이 설정을 false로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결론

JPA는 Spring의 ORM으로서,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단순화하면서 개발자에게 편리한 수단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막상 도입하려고하면 n+1 같은 성능상 문제들을 직면하게 됩니다. 이 글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